안녕하세요, 요즘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로 갑자기 블루스크린(BSOD)이 자주 발생하고, 특히 UNEXPECTED_STORE_EXCEPTION
오류와 함께 ntkrnlmp.exe
또는 ntoskrnl.exe
가 원인으로 지목된다는 분들이 많아졌어요. 저 역시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여러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구체적인 원인 분석과 상황별 해결법을 정리해봅니다.
1. UNEXPECTED_STORE_EXCEPTION 오류란?
이 오류는 윈도우의 저장소(스토어) 컴포넌트에서 예기치 못한 예외가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블루스크린 코드입니다. 주로 하드웨어(특히 SSD/HDD), 드라이버, 시스템 파일 손상, 메모리, 바이러스, 과도한 오버클럭, 전원 문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요.
2. 대표 증상과 원인 분석
- ntkrnlmp.exe/ntoskrnl.exe가 원인으로 표시됨
→ 윈도우 핵심 커널 파일로, 실제 원인은 하드웨어/드라이버/시스템 파일 등 다양함 - 메모리 오류 없음
→ 메모리 자체 문제는 아닐 가능성 높음 - CPU 쿨러 교체, GPU 언더볼팅
→ 하드웨어 변경 후 드라이버 충돌이나 전원 관련 이슈 가능 - 최근 윈도우 업데이트
→ 업데이트로 인한 드라이버/시스템 파일 충돌 가능 - minidump에서 Windows 10으로 표시
→ 윈도우 11 기반이지만 커널 버전 호환성 문제일 수 있음
3. 상황별 구체적 해결법
1) 하드웨어 및 저장장치 점검
- 디스크 오류 검사
- 관리자 권한 CMD 실행 후
입력, 재부팅하여 검사 진행chkdsk C: /f /r
- 관리자 권한 CMD 실행 후
- 시스템 파일 검사
- 관리자 권한 CMD에서
입력, 손상된 파일 자동 복구sfc /scannow
- 관리자 권한 CMD에서
- DISM 복구 명령어
- 관리자 권한 CMD에서
입력, 윈도우 이미지 복구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 관리자 권한 CMD에서
2) 드라이버 및 윈도우 업데이트
- 모든 드라이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특히 GPU, 칩셋, 스토리지 드라이버
- 장치관리자에서 각 장치 우클릭 → 드라이버 업데이트
- 윈도우 최신 업데이트 적용
- 설정 → Windows 업데이트 → 업데이트 확인 및 설치
3) 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 점검
- 서드파티 백신 프로그램 일시 중지 또는 삭제
- 일부 백신이 시스템 파일 접근을 방해할 수 있음
4) 오버클럭/언더볼팅 해제
- CPU/GPU 오버클럭, 언더볼팅 해제
- 안정성 테스트 위해 기본값으로 복원
- 쿨러 교체 이후라면 바이오스 초기화도 고려
5) 외부 장치 및 소프트웨어 점검
- 불필요한 USB, 외부 장치 모두 분리
- 마우스/키보드 외 모든 장치 제거 후 재부팅
- 게임 관련 EasyAntiCheat 등 충돌 확인
- 최근 설치/업데이트된 게임이나 보안 소프트웨어가 원인일 수 있음
6) 클린 부팅 및 그래픽 드라이버 재설치
- 클린 부팅
- msconfig에서 시작 프로그램 최소화 후 부팅
- 그래픽 드라이버 DDU로 완전 제거 후 재설치
- NVIDIA/AMD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 설치
4. 추가 팁
- 메모리/스토리지 상태가 계속 양호하다면, SSD 펌웨어 업데이트도 고려
- 이전 복원 지점이 있다면 복원 시도
- 문제가 계속된다면 윈도우 초기화 또는 포맷도 최후의 수단
5. 마무리
이런 블루스크린 오류는 원인이 다양해서 하나씩 차근차근 점검하는 게 중요해요. 위 방법을 하나씩 시도해보시고, 그래도 해결이 안 된다면 하드웨어 점검(특히 SSD/HDD 교체 테스트)이나 전문 서비스센터 방문도 추천드립니다.
'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19H1에서 22H2로 업데이트 실패, 0xc1900101 오류 해결법 – 데이터 손실 없이 안전하게! (0) | 2025.04.21 |
---|---|
윈도우 10 1909에서 22H2로 업데이트가 안될 때, 해결 방법 총정리 (0) | 2025.04.21 |
윈도우 업데이트 KB5055523 설치 오류 0x800f081f,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25.04.20 |
윈도우 11 24H2 업데이트 설치 오류(0xC1900101-0x20017) 해결 가이드 (0) | 2025.04.20 |
윈도우10에서 윈도우11로 도메인 환경에서 임직원이 알아채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