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갑자기 알 수 없는 오류 메시지로 당황스러울 때가많죠.
오늘은 위와 같은 두 가지 대표적인 오류 메시지에 대해, 실제 상황별로 원인과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정리해봤어요. 누구나 따라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설명할게요!
1. “지정한 장치 경로 또는 파일에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오류
어떤 상황에서 발생할까?
- 프로그램 실행, 설치, 업데이트 시
- 특정 폴더나 파일을 열거나 복사, 이동할 때
-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할 때
대표적인 원인
- 파일/폴더에 대한 권한 부족
- 파일 위치가 잘못되었거나 삭제됨
- 보안 프로그램(백신 등)이 차단
- 윈도우가 파일을 차단
해결 방법
1) 파일/폴더 권한 확인 및 부여
- 문제가 발생한 파일 또는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 ‘속성’ 선택
- ‘보안’ 탭 클릭
- ‘편집’ 버튼 클릭 → 내 계정 선택 → ‘모든 권한’ 체크
- ‘적용’과 ‘확인’ 클릭
2) 소유권 변경
- ‘속성’ → ‘보안’ 탭 → ‘고급’ 클릭
- ‘소유자’ 항목에서 ‘변경’ 클릭 → 내 계정 입력 → ‘이름 확인’ → ‘확인’
- ‘하위 컨테이너 및 개체의 소유자 교체’ 체크 → ‘확인’
3)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실행하려는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선택
4) 파일 위치 및 존재 여부 확인
- 파일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경로가 맞는지 확인
- 파일이 삭제되었거나 이동된 경우 복구 또는 재설치 필요
5) 보안 프로그램(백신 등) 일시 해제
- 백신 프로그램이 파일 실행을 막고 있다면, 잠시 실시간 감시를 해제하고 시도
2. “libcrypto-1_1.dll을 찾을 수 없습니다” 오류
어떤 상황에서 발생할까?
- 특정 프로그램 실행 시(특히 보안, 네트워크 관련 프로그램)
- DLL 파일이 손상, 삭제, 누락된 경우
대표적인 원인
- libcrypto-1_1.dll 파일이 삭제 또는 손상됨
- 프로그램 설치 과정에서 DLL 등록이 누락됨
- 악성코드/바이러스에 의한 파일 손상
해결 방법
1) 프로그램 재설치
- 오류가 발생하는 프로그램을 완전히 삭제 후,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
2) DLL 파일 직접 다운로드 및 등록
- 신뢰할 수 있는 DLL 파일 제공 사이트에서 libcrypto-1_1.dll 파일 다운로드
- 32비트 OS: C:\Windows\System32 폴더에 복사
64비트 OS: C:\Windows\SysWOW64 폴더에도 복사 필요할 수 있음 - 명령 프롬프트(관리자 권한) 실행 → 아래 명령어 입력
regsvr32 libcrypto-1_1.dll
- PC 재부팅 후 프로그램 실행
3) Visual C++ 재배포 패키지 설치
-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에서 Visual C++ Redistributable 최신 버전 설치
4) 시스템 파일 검사
- 명령 프롬프트(관리자 권한) 실행 후
명령어 입력 → 검사 및 복구 진행sfc /scannow
3. 실전 팁
- 항상 공식 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도 안 된다면, 윈도우 계정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숨겨진 관리자 계정’ 활성화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백신 프로그램은 반드시 다시 활성화하세요.
결론
이런 오류 메시지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지만, 당황하지 말고 차근차근 위의 방법을 따라 해보세요. 권한 문제는 대부분 ‘속성-보안’에서 해결되고, DLL 오류는 재설치 또는 파일 복원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답니다. 혹시 해결이 안 된다면 댓글로 상황을 남겨주시면 추가로 도와드릴게요!
'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가 갑자기 꺼지고 블루스크린 없이 Event ID 41, Bug Checkcode 307이 뜰 때 대처법 (0) | 2025.04.26 |
---|---|
Windows 11 KB5055629 업데이트 오류,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25.04.25 |
Windows 11에서 BSOD 'UNEXPECTED_STORE_EXCEPTION' 반복, ntoskrnl.exe/ntkrnlmp.exe 원인일 때 해결법 (0) | 2025.04.25 |
Windows 10 부팅 불가 BSOD(Unexpected Kernel Mode Trap, ndis.sys, WppRecorder.sys) 반복 시 대처법 (1) | 2025.04.24 |
윈도우 업데이트 7%에서 멈춤, 강제 종료해도 해결 안 될 때 대처법 (1)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