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s.db란 무엇이고 왜 삭제가 안 될까?
Windows에서 폴더를 열면 미리보기(썸네일) 이미지를 빠르게 보여주기 위해 Thumbs.db라는 숨겨진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돼요. 이 파일은 주로 이미지가 많은 폴더에서 자주 보이는데, 문제는 이 Thumbs.db 파일이 ‘사용 중’ 상태가 되면 폴더를 삭제할 때 “Thumbs.db 파일이 사용 중입니다”라는 오류 메시지가 뜬다는 거죠. 이럴 때 정말 답답하실 거예요.
상황별 Thumbs.db 삭제 불가 문제 해결법
1. 폴더 보기 방식 바꾸기
가장 간단한 방법은 폴더의 보기 방식을 바꾸는 거예요.
- 폴더를 연 상태에서 상단 메뉴에서 ‘보기’ → ‘자세히’ 또는 ‘목록’으로 변경해 보세요.
- 썸네일 미리보기가 꺼지면서 Thumbs.db 파일이 잠금 해제되는 경우가 많아요.
- 이 상태에서 다시 폴더 삭제를 시도해 보세요.
2. 모든 탐색기 창 닫기
Windows 탐색기(폴더 창)가 Thumbs.db를 붙잡고 있을 수 있어요.
- 모든 탐색기 창을 완전히 닫은 뒤,
- 다시 한 번 폴더 삭제를 시도해 보세요.
3. 명령 프롬프트(관리자 권한)로 강제 삭제
그래도 안 된다면 명령 프롬프트를 활용해볼 수 있어요.
- Win + R을 눌러 ‘cmd’ 입력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해당 폴더로 이동(cd 명령어 사용)
- 아래 명령어 입력
del thumbs.db /s /q
- 폴더 전체에서 Thumbs.db 파일을 강제로 삭제해 줍니다.
- 이후 폴더 삭제를 다시 시도해 보세요.
4. 컴퓨터 재부팅 후 바로 삭제
Thumbs.db 파일이 시스템에 의해 잠겨 있을 때는
- 컴퓨터를 재부팅한 뒤,
- 폴더를 열지 말고 바로 해당 폴더로 이동해서 삭제해 보세요.
- 폴더를 열면 또 Thumbs.db가 생성될 수 있으니 주의!
5. 그룹 정책으로 Thumbs.db 생성 자체 막기 (Pro 이상)
Windows Pro 이상 버전에서는 Thumbs.db 생성 자체를 막을 수 있어요.
- Win + R → ‘gpedit.msc’ 입력
- ‘사용자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파일 탐색기’
- ‘숨겨진 thumbs.db 파일에 썸네일 캐시 사용 안 함’ 항목 더블 클릭
- ‘사용’으로 설정 후 적용
- 컴퓨터 재부팅
이렇게 하면 앞으로 Thumbs.db 파일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아요.
6. 네트워크 드라이브/공유 폴더에서 삭제가 안 될 때
네트워크 드라이브나 공유 폴더에서는 파일 잠금 문제가 더 자주 발생해요.
- 위 방법들을 시도해도 안 된다면,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잠시 끊었다가 다시 연결한 뒤 삭제를 시도해 보세요.
추가 팁: Thumbs.db 파일을 아예 보이지 않게 하려면?
- 폴더 옵션에서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와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 옵션을 조정하면 Thumbs.db 파일이 보이거나 숨겨질 수 있어요.
- 굳이 보이지 않게 하고 싶다면 이 옵션을 활용해 주세요.
마무리
Thumbs.db 파일 때문에 폴더 삭제가 안 되는 문제,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겪고 계세요. 위 방법들 중 본인 상황에 맞는 방법을 차근차근 시도해 보시면 대부분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그래도 안 된다면, 댓글로 상황을 남겨주시면 추가로 도와드릴 수 있어요.
컴퓨터 관리,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만 익혀두면 다음엔 훨씬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부팅 시 무한 재부팅(Endless Looping Shutdown) 현상,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25.04.22 |
---|---|
윈도우에서 모든 아이콘이 사라졌을 때,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25.04.22 |
윈도우 11 Home에서 Pro로 업그레이드할 때 "Safe_os Error"가 뜬다면? 쉽게 따라하는 해결법 (0) | 2025.04.21 |
윈도우 11 24H2 설치 오류(0xc1900201)와 "시스템 예약 파티션을 업데이트할 수 없습니다" 해결법 총정리 (0) | 2025.04.21 |
윈도우 10 19H1에서 22H2로 업데이트 실패, 0xc1900101 오류 해결법 – 데이터 손실 없이 안전하게!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