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부팅 시 무한 재부팅, 에러 코드 0xC0000001, CRITICAL PROCESS DIED
최근 ThinkPad 노트북에서 윈도우 10을 부팅할 때마다 무한 재부팅이 반복되고,
초기에는 0xC0000001 에러, 이후에는 “CRITICAL PROCESS DIED” 블루스크린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시스템 파일 손상, 드라이버 문제, 부트 레코드 오류, 하드웨어 결함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단계: 모든 외부 장치 분리 및 하드 리셋 시도
- USB, 프린터, 외장하드 등 모든 외부 장치를 제거하세요.
- 노트북이라면 배터리와 전원 어댑터까지 분리한 뒤, 전원 버튼을 15~20초간 길게 눌러 잔류 전원을 방전시킵니다.
- 전원을 연결하고 필수 장치(키보드, 마우스)만 연결 후 부팅을 시도해봅니다.
2단계: 윈도우 복구 환경(WinRE) 진입
무한 재부팅 상태에서는 아래 방법으로 복구 환경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 전원을 켠 직후 윈도우 로고가 보이기 전에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강제 종료합니다.
- 이 과정을 2~3회 반복하면 “자동 복구 준비 중” 또는 “복구 환경” 화면이 나타납니다.
- ‘고급 옵션’ →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메뉴로 진입하세요.
3단계: 자동 복구 및 시작 복구 실행
- ‘시작 복구(Startup Repair)’를 선택해 자동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복구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 만약 자동 복구가 실패한다면, 아래의 추가 방법을 시도하세요.
4단계: 명령 프롬프트로 부트 레코드 및 시스템 파일 복구
복구 환경에서 ‘명령 프롬프트’로 진입한 뒤, 아래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bootrec /scanos
bootrec /rebuildbcd
sfc /scannow
- 첫 4개 명령어는 부트 레코드와 부팅 구성을 복구합니다.
- 마지막 sfc 명령어는 윈도우 시스템 파일 손상을 검사하고 복구합니다.
5단계: DISM 명령어로 시스템 이미지 복구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 명령어를 추가로 입력해 시스템 이미지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CheckHealth
DISM /Online /Cleanup-Image /ScanHealth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6단계: 안전 모드(Safe Mode)로 부팅 시도
- 복구 환경에서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후, F4(안전 모드) 또는 F5(네트워킹 포함 안전 모드)를 선택합니다.
- 안전 모드 진입에 성공했다면,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 오류(노란 느낌표)를 확인하고, 문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또는 제거하세요.
- 최근 설치한 프로그램이나 업데이트가 있다면 삭제해봅니다.
7단계: 시스템 복원 또는 초기화
- ‘시스템 복원’을 선택해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 복원이 불가능하다면, ‘이 PC 초기화’를 통해 윈도우를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백업이 필요하다면 복구 환경에서 명령 프롬프트로 외장하드에 파일을 복사하세요.)
8단계: 클린 설치(포맷 후 재설치) 최후의 방법
위 모든 방법이 실패할 경우, 윈도우 설치 USB를 이용해 클린 설치를 진행하세요.
설치 전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무한 재부팅과 블루스크린은 누구에게나 스트레스를 주는 문제지만,
위의 단계들을 차근차근 따라가면 대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트 레코드 복구, 시스템 파일 검사, 안전 모드 진입, 드라이버 점검이 핵심입니다.
혹시 해결이 어렵거나 데이터 복구가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0x800703f1, 오류 해결 안 될 때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5.04.22 |
---|---|
윈도우 11 KB5055523 누적 업데이트 설치 오류(0x800f081f) 해결 가이드 (0) | 2025.04.22 |
윈도우에서 모든 아이콘이 사라졌을 때,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25.04.22 |
‘Thumbs.db in use’ 오류, 폴더 삭제가 안 될 때 완벽 해결법 (0) | 2025.04.22 |
윈도우 11 Home에서 Pro로 업그레이드할 때 "Safe_os Error"가 뜬다면? 쉽게 따라하는 해결법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