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과 원인: FIRST_BOOT phase, MIGRATE_DATA 오류란?
윈도우 10에서 11로 업그레이드 시
“0x8007001F - 0x3000D: The installation failed in the FIRST_BOOT phase with an error during MIGRATE_DATA operation”
이 오류가 반복된다면, 주로 사용자 프로필, 시스템 파일, 드라이버, 또는 일부 서비스 문제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손상된 사용자 프로필 또는 잔여 폴더, 레지스트리 오류
- 시스템 파일 손상
- 드라이버(특히 오디오/스토리지) 충돌
- 백신, 방화벽 등 타사 소프트웨어 간섭
- Windows Update 관련 서비스 비정상
- 디스크 용량 부족, 권한 문제
1단계: 사용자 프로필 및 레지스트리 정리
- C:\Users 폴더 내 불필요하거나 이상한 폴더(예: dub_cm_auto, Default.migrated) 삭제
- 레지스트리 편집기(regedit) 실행 →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rofileList
아래에 삭제된 계정이나 불필요한 SID(길고 복잡한 이름)가 남아있다면 백업 후 삭제 - Windows.old\Users 폴더도 확인해 불필요한 사용자 폴더 삭제
2단계: Windows Update 및 App Readiness 서비스 점검
- 검색창에 ‘services.msc’ 입력 후 실행
- Windows Update,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BITS), App Readiness 서비스가 ‘자동’ 및 ‘실행 중’인지 확인
- 꺼져 있다면 시작
3단계: 시스템 파일 및 디스크 검사
명령 프롬프트(관리자 권한)에서 아래 명령어 순서대로 실행
sfc /scannow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chkdsk C: /f /r /x
- 시스템 파일 및 디스크 손상 복구
- 완료 후 재부팅
4단계: 드라이버 최신 상태 확인 및 불필요한 장치 제거
- 장치 관리자에서 오디오,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주요 드라이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필요 없는 외부 장치(USB, 프린터 등) 모두 분리
- 드라이버 충돌 의심 시, 해당 장치 ‘사용 안 함’ 후 업그레이드 시도
5단계: 타사 백신/방화벽 완전히 제거
- 타사 백신, 방화벽 프로그램이 있다면 완전히 제거
- Windows Defender도 일시적으로 실시간 보호 해제
- 설치 완료 후 재설치
6단계: Windows Update 구성요소 초기화
명령 프롬프트(관리자 권한)에서 아래 명령어 한 줄씩 입력
net stop wuauserv
net stop cryptSvc
net stop bits
net stop msiserver
ren %systemroot%\SoftwareDistribution SoftwareDistribution.old
ren %systemroot%\System32\catroot2 catroot2.old
net start wuauserv
net start cryptSvc
net start bits
net start msiserver
- 이후 재부팅 후 업그레이드 재시도
7단계: 수동 업그레이드 및 로그 확인
- 공식 Microsoft Update 카탈로그에서 최신 Windows 11 ISO 다운로드 후 업그레이드
- 실패 시, C:$WINDOWS.~BT\Sources\Panther\setuperr.log 또는 setupact.log 파일을 열어 구체적인 오류 원인 확인
- 문제되는 파일, 폴더, 드라이버가 있다면 삭제 또는 업데이트
8단계: BIOS 및 펌웨어 최신화
-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BIOS 및 주요 펌웨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구형 BIOS는 업그레이드 오류 원인이 될 수 있음
9단계: 그래도 안 될 때
- 새 사용자 계정 생성 후 해당 계정으로 업그레이드 시도
- 모든 데이터 백업 후 ‘이 PC 초기화’ 또는 클린 설치도 고려
마무리
0x8007001F - 0x3000D 오류는 사용자 프로필, 드라이버, 시스템 파일 등 복합적인 원인에서 발생합니다.
위 단계들을 차근차근 따라가면 대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 폴더 및 레지스트리 정리, 드라이버/서비스 점검, 시스템 파일 복구가 핵심입니다.
진행 중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로그 파일을 참고하거나, 댓글로 상황을 남겨주세요!
'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syAntiCheat 실행 시 UNEXPECTED_KERNEL_MODE_TRAP 블루스크린, 이렇게 해결하세요 (0) | 2025.04.23 |
---|---|
MSI GP62MVR Leopard Pro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와 누락 파일 복구, 한 번에 해결하는 방법 (0) | 2025.04.23 |
Windows 10 부팅 지연, ProfSvc(User Profile Service) 때문에 느려질 때 해결법 (0) | 2025.04.22 |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0x800703f1, 오류 해결 안 될 때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5.04.22 |
윈도우 11 KB5055523 누적 업데이트 설치 오류(0x800f081f) 해결 가이드 (0) | 2025.04.22 |